마누엘 L. 케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누엘 L. 케손은 1878년 필리핀에서 태어나 변호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필리핀 독립에 헌신했다. 그는 필리핀-미국 전쟁에 참여하고, 미국 의회에서 필리핀 자치권 확대를 위해 노력했으며, 필리핀 자치령 대통령을 역임했다. 또한 타갈로그어를 국어로 지정하고,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정부를 수립했으나, 1944년 미국에서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는 필리핀 독립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필리핀 화폐와 여러 기념물에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망명자 - 이멜다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남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영부인으로 활동하며 도시 개발, 문화 예술 사업에 참여했으나 뇌물 수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마누엘 L. 케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누엘 루이스 케손 이 몰리나 |
출생일 | 1878년 8월 19일 |
출생지 | 발레르, 엘 프린시페, 누에바 에시하, 스페인령 동인도 (현재의 발레르, 아우로라, 필리핀) |
사망일 | 1944년 8월 1일 |
사망 원인 | 결핵 |
사망 장소 | 미국 뉴욕주 새러낵 호 |
안장 장소 | 알링턴 국립묘지, 알링턴 군, 버지니아 (1944–1946) 마닐라 북부 묘지, 산타 크루스, 마닐라, 필리핀 (1946–1979) 케손 기념 신사, 케손 시티, 필리핀 (1979년부터) |
정당 | 국민당 (1907–1944) |
배우자 | 오로라 아라곤 (1918년 결혼) |
친척 | 마누엘 L. 케손 3세 (손자) |
자녀 | 4명 |
교육 | 콜레히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 |
![]() | |
소속 | 필리핀 제1공화국 필리핀 자치령 |
군사 부문 | 필리핀 혁명군 필리핀 자치령군 |
복무 기간 | 1899–1900 1941–1944 |
계급 | 최고사령관 소령 |
참전 전투 | 필리핀-미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 전역 (1941–1942) 필리핀 일본 점령 |
모교 | 산토 토마스 대학교 |
필리핀 대통령 | |
순서 | 2대 |
직책 | 필리핀 대통령 |
부통령 | 세르히오 오스메냐 |
임기 시작 | 1935년 11월 15일 |
임기 종료 | 1944년 8월 1일 |
대통령 권한 대행 | 호세 라우렐 (1943–1944) |
전임자 | 에밀리오 아기날도 프랭크 머피 (총독으로서) |
후임자 | 세르히오 오스메냐 호세 라우렐 (사실상의) |
국방부 장관 | |
직책 | 국방부 장관 |
임기 시작 | 1941년 7월 16일 |
임기 종료 | 1941년 12월 11일 |
전임자 | 테오필로 시손 |
후임자 | 호르헤 B. 바르가스 |
케손 시티 시장 | |
직책 | 케손 시티 시장 |
지위 | 직무 대행 |
임기 시작 | 1939년 10월 12일 |
임기 종료 | 1939년 11월 4일 |
부시장 | 비센테 프라간테 |
전임자 | 직책 신설 |
후임자 | 토마스 모라토 |
공공 교육부 장관 | |
직책 | 공공 교육부 장관 |
대통령 | 본인 |
임기 시작 | 1938년 12월 1일 |
임기 종료 | 1939년 4월 19일 |
전임자 | 세르히오 오스메냐 |
후임자 | 호르헤 보코보 |
정부 관직 (1906–1935) | |
필리핀 상원 의장 | |
직책 | 상원 의장 |
순서 | 1대 |
임기 시작 | 1916년 11월필리핀 교육 (1917), F.R. 루츠 |
임기 종료 | 1935년 11월 15일 |
후임자 | 힐 몬틸라 (국민 의회 의장) 마누엘 로하스 (상원 의장) |
필리핀 상원 의원 | |
선거구 | 5선거구 |
임기 시작 | 1916년 10월 16일 |
임기 종료 | 1935년 11월 15일 |
전임자 | 직책 신설 |
후임자 | 직책 폐지 |
필리핀 아마추어 운동 연맹 회장 | |
직책 | 필리핀 아마추어 운동 연맹 회장 |
임기 시작 | 1916년 |
임기 종료 | 1935년 |
전임자 | 윌리엄 캐머런 포브스 |
후임자 | 호르헤 B. 바르가스 |
미국 하원 필리핀 제도 상주 위원 | |
직책 | 미국 하원 필리핀 제도 상주 위원 |
임기 시작 | 1909년 11월 23일 |
임기 종료 | 1916년 10월 15일 |
전임자 | 파블로 오캄포 |
후임자 | 테오도로 R. 양코 |
필리핀 하원 다수당 대표 | |
직책 | 하원 다수당 대표 |
임기 시작 | 1907년 10월 16일 |
임기 종료 | 1909년 11월 23일 |
후임자 | 알베르토 바레토 |
필리핀 의회 의원 | |
선거구 | 타야바스 제1선거구 |
직책 | 필리핀 의회 의원 |
임기 시작 | 1907년 10월 16일 |
임기 종료 | 1909년 5월 15일 |
전임자 | 선거구 신설 |
후임자 | 필레몬 페레스 |
타야바스 주지사 | |
직책 | 타야바스 주지사 |
임기 시작 | 1906년 |
임기 종료 | 1907년 |
전임자 | 리카르도 G. 파라스 |
후임자 | 알프레도 카스트로 |
루세나 시의회 의원 | |
직책 | 루세나 시의회 의원 |
임기 | 1906년 |
2. 생애
1878년 8월 19일 타야바스 주(현재의 아우로라주) 바렐(Baler)에서 태어났다. 산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산토 토마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나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고 에밀리오 아기날도 휘하 독립군에 합류했다. 1903년 사법 시험에 합격하여 1년간 변호사로 활동했다.
1905년 타야바스 주 주지사 선거에 당선되어 2년간 주지사직을 수행했다. 1907년 총선거에 국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필리핀 의회 의원에 당선, 여당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1909년 주미 위원으로 임명되어 미국 의회에서 필리핀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1916년 존스법(필리핀 자치법) 제정에 기여하여 필리핀 상원 의장에 취임했다. 1935년 필리핀 자치령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1년 대통령에 재선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8일 일본군의 마닐라 공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었다.[71] 12월 26일 더글러스 맥아더의 권고에 따라 정부를 마닐라에서 이전했다.[72] 1942년 미국으로 건너가 망명 정부를 수립했으나, 1944년 8월 1일 뉴욕주에서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46년 케손시의 케손 메모리얼 서클에 안장되었다.
1967년부터 20페소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고 있다.
2. 1. 출생과 초기 활동
마누엘 L. 케손은 1878년 8월 19일 필리핀 케손주(당시 타야바스주) 발레르에서 태어났다. 루시오 케손과 마리아 돌로레스 몰리나 사이의 장남으로, 두 분 모두 교사였다. 케손의 가문은 루손섬의 타갈로그 가문이었으며, 그의 성은 스페인식 로마자 표기로, 중국어(호키엔어) 단어 雞孫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9][10]케손은 부모로부터 종교, 문법, 화술, 역사, 라틴어, 지리 등을 배웠다.

이후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에 입학하여 1894년 중등학교를 졸업했다.[11]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 중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부관''으로 필리핀 공화국 군대에 합류하기 위해 산토 토마스 대학교 법률 공부를 중단했다.[12] 케손은 소령으로 바탄 지역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1900년 항복 후,[13] 대학교로 돌아가 1903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14]
케손은 민도로주와 타야바스에서 재무관으로 일했으며, 루세나 시의회 의원을 거쳐 1906년 타야바스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5]
2. 2. 학창 시절과 독립 전쟁 참여
산토 토마스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나,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고 에밀리오 아기날도 휘하 독립군에 합류하여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참여했다.[16] 1901년 아기날도가 미국에 항복하자 실망하여 학업에 복귀, 학비 조달을 위해 계약직 은행원으로 근무하면서도 우수한 성적으로 1903년 8월 16일 사법고시에 합격하였다.[16]같은 해 산토 토마스 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 후 마닐라 근처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무료 변호와 독립 운동가 변호 등 사회 활동을 전개했고, 1905년 검사로 임용되었다.[16]
2. 3. 정치 활동
1916년 케손은 마닐라로 돌아와 제5 선거구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상원 의장으로 선출되어 1935년까지 19년 동안 재임했는데, 이는 로렌조 타난다 상원의원(1947년부터 1972년까지 4선 연임, 총 24년)이 기록을 경신할 때까지 역사상 가장 긴 재임 기간이었다. 1919년 미국 의회에 대한 최초의 독립적인 사절단을 이끌었고, 1934년에는 타이딩스-맥더피 법의 통과를 확보했다. 1922년에는 나시오날리 스타당 연합인 파르티도 나시오날리 스타-콜렉티비스타의 지도자가 되었다.[17]

2. 3. 1. 정계 입문과 자치권 운동
필리핀이 독립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미국과 협상하는 것이라는 확신에 따라 검사직을 사퇴하고 정계에 입문, 1905년 타야바스 주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73] 2년 동안 타야바스 주지사로 재직했다. 1907년에는 새롭게 수립된 필리핀 의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다수당의 지도자가 되었다.1909년 케손은 발언권은 있지만 투표권이 없는 미국 연방하원의 필리핀 상주 대표로 임명되었다.[73] 워싱턴 D. C.에 상주하는 수년 동안 미국 정부로부터 필리핀 독립을 조속히 승인받기 위해 정열적으로 투쟁했다.[73] 그는 미국 상원과 하원의 정치인, 언론인, 유력 정치인들을 찾아다니며 필리핀의 독립을 도와줄 것을 호소하였다.[73] 1916년에는 미국 의회 하원과 상원에서 〈존스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 법안은 구체적인 날짜는 지정하지 않았지만 필리핀의 독립을 약속했으며, 필리핀의 자치권을 확대하고 미국 의회제도를 모델로 필리핀에 양원제의 입법부를 구성할 것을 규정했다.[73]
1916년 케손은 상주대표직을 사임하고 마닐라로 돌아와 새로 구성된 필리핀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해 상원의장에 선출되어 1935년까지 19년간 상원의장직을 역임했다.[73] 1919년, 그는 독립사절단으로 미국 의회로 가서, 1934년,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도록 보장을 받았다.[73] 1922년에는 그의 정적인 세르히오 오스메냐가 이끌던 국민당의 당권을 장악했다.[73]
2. 3. 2. 자치권 획득
미국에 필리핀의 자치 허용과 유예기간 후 독립 약속을 요구했으며, 존스 법 제정으로 필리핀인으로 구성된 의회 설립에 기여했다.[73] 1916년 미국 의회 하원과 상원에서 〈존스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 법안은 구체적인 날짜는 지정하지 않았지만 필리핀의 독립을 약속했으며, 필리핀의 자치권을 확대하고 미국 의회제도를 모델로 필리핀에 양원제의 입법부를 구성할 것을 규정했다. 그는 미 의회에서 발언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투표권은 없었다.존스 법은 필리핀이 자치정부를 수립해 자치통치를 할 수 있을 때 미국이 필리핀을 독립시켜 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존스 법 제정 후 필리핀은 필리핀인들로 구성된 의회를 가지게 되었다.
타이딩스-맥더피 법(1934년) 통과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했으며, 이 법안은 헌법 제정 후 10년 뒤 필리핀 완전 독립 보장 및 자치 정부 수립 조건이었다.
1935년 9월 17일 필리핀 자치령 대통령 선거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필리핀 자치정부 대통령
1935년 새로운 헌법이 국민투표로 비준되었고, 총선거에서 케손은 코먼웰스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1년 대통령에 재선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8일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71] 케손은 미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권고에 따라 정부를 마닐라에서 이전했다.[72] 1942년 미국으로 건너가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케손은 공정한 정부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의의 아버지'라고 불렸으며, 타갈로그어를 국어로 채택하여 '필리핀 국어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1944년 8월 1일 뉴욕주에서 지병인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 고국인 케손시의 케손 메모리얼 서클에 안장되었다.[53]
3. 1. 평등하고 공정한 정책
케손은 '정의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공정한 정부 시스템을 구축했다. 빈부 격차에 상관없이 국민을 공평하게 대우하고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했다.[21]취임 초기에는 반미 시위를 자제시키고 미국과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특별고문으로 임명하여 필리핀 군대를 재조직하고 미군의 군사 훈련을 도입했다. 무토지 농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다나오 섬 개발을 추진하고 정부 조직 내 부정부패를 없애려 노력했다.[21]
1939년에는 개인 토지를 매입하여 수도 부지로 선택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케손시를 건설했다. 케손시는 케손 사후 1948년에 공식 수도로 지정되었다.
3. 2. 타갈로그어 국어 결정
케손은 널리 쓰이던 영어 대신 필리핀의 전통 언어 중 살아남은 타갈로그족의 언어인 타갈로그어를 국어로 채택하게 했다. 영어 전용론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를 강하게 추진했다. 그는 국민들이 하나의 공통된 언어를 가짐으로써 더욱 단결할 수 있고, 전국 어디를 가거나 의사 소통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타갈로그어 사전을 만드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그는 정력적으로 추진하여, 1940년 6월 19일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의 국어로 공식 선언되었다.[30] 따라서 케손은 '필리핀 국어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1년간의 연구 끝에 국립언어연구소는 타갈로그어를 국어의 기초로 할 것을 권고했다. 케손의 고향인 케손주 발레르가 원래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소장 하이메 C. 드 베이라가 와라이족 출신이었음에도 이 제안은 호평을 받았다.
1937년 12월, 케손은 연구소의 권고를 승인하고 2년 후 국어가 효력을 발생한다고 선포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국립언어연구소는 타갈로그어 문법 교재와 사전 작업을 시작했다.[30]

케손은 국가어를 만들기 위해 국어원(INL)을 설립했다. 1937년 12월 30일, [https://www.officialgazette.gov.ph/1937/12/30/executive-order-no-134-s-1937/ 제134호 행정명령]에서 그는 타갈로그어를 필리핀의 국어로 선포했으며, 1940년-1941년 학년도 동안 학교에서 가르쳤다. 국회는 그 후 법률 제570호를 제정하여 국어를 영어와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만들었으며, 이는 필리핀 공화국이 수립된 1946년 7월 4일부터 시행되었다.[30][37]
3. 3.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정부
1941년 대통령 선거에서 케손은 전 상원의원 후안 수물롱을 누르고 약 82%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38] 그러나 같은 해 12월 8일,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71] 케손은 미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권고에 따라 1941년 12월 30일 코레히도르의 말린타 터널에서 취임하였고, 정부를 마닐라에서 이전했다.[39][72]일본이 필리핀을 완전히 점령한 1942년, 케손은 마닐라 함락 직전 탈출하여 오스트레일리아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 워싱턴 D.C.에 망명정부를 수립했다.[47][46] 그는 태평양 전쟁위원회에 참여하여 반(反) 파시스트 국제연합(UN) 선언서에 서명했다.[30] 또한, 미국 상, 하원을 설득하고, 미국 국민에게 필리핀 전쟁을 상기시키기 위해 노력했다.[30]


케손은 폐결핵으로 미국 뉴욕주 새러낵 호 근처의 병원에서 투병하다 1944년 8월 1일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0] 그의 유해는 처음에 알링턴 국립묘지에 매장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에 마닐라 북부묘지에 다시 매장되었고,[51] 1979년 8월 1일 케손 시티의 케손 기념관으로 이장되었다.[53]

4. 사후
필리핀 정부는 그의 독립 활동 공적을 기려 1949년 그의 고향 타야바스주를 케손주로 개칭했다. 필리핀의 화폐 20PHP의 주인공으로 도안되었다.
케손 시티에는 그를 기념한 케손 기념 성지가 세워졌다.
그의 유해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매장되었다가, 프랭크 머피가 함에 실어 옮겨 1946년 7월 17일 마닐라 북부묘지에 다시 매장했다.[51] 그 후 그의 유해는 나폴레옹의 묘를 축소한 모형[52]이 있는 케손 시티의 케손 기념관으로 1979년 8월 1일에 이장되었다.[53]
케손 시(Quezon City), 케손주(Quezon)와 마닐라의 케손 다리(Quezon Bridge), 마누엘 L. 케손 대학교(Manuel L. Quezon University), 그리고 많은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케손 훈장(Quezon Service Cross)은 필리핀 최고의 훈장이다. 케손은 필리핀 페소(Philippine peso)에 기념되어 필리핀 20페소 지폐(Philippine twenty-peso note)와 1936년 기념 1PHP 주화 두 개(필리핀 페소 주화(Coins of the Philippine peso): 하나는 프랭크 머피(Frank Murphy)와 함께, 다른 하나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와 함께)에 등장한다.[57]
여섯 개의 필리핀 주(provinces of the Philippines)에 있는 필리핀 시(Municipalities of the Philippines)가 케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부키드논주 케손(Quezon, Bukidnon); 이사벨라주 케손(Quezon, Isabela); 누에바에시하주 케손(Quezon, Nueva Ecija); 누에바비스카야주 케손(Quezon, Nueva Vizcaya); 팔라완주 케손(Quezon, Palawan); 그리고 케손주 케손(Quezon, Quezon). ''마누엘 L. 케손 대통령 기록물(Presidential Papers of Manuel L. Quezon)''은 2011년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Register)에 등재되었다.[60] 케손 섬은 백섬 국립공원(Hundred Islands National Park)에서 가장 발달된 섬이다.[61]
매년 8월 19일, 마누엘 L. 케손의 날은 케손주(루세나 포함)와 아우로라주(Aurora (province)) 그리고 케손 시를 제외한 필리핀 전역에서 특별 근무일로 기념된다. 케손주(루세나 포함)와 아우로라주 그리고 케손 시에서는 공휴일이다.[62][63]
5. 평가
진정한 필리핀 독립을 위해 평생을 헌신한 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케손은 필리핀에서 가장 용감하고 정의롭고 당당한 대통령 중 한 사람으로 기억된다. 케손은 경호원 없이 거리를 홀로 활보할 수 있는 유일한 대통령이었다고 한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존경하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을 해칠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굳게 믿었다. 그의 정부 시스템은 공정했으며 빈부를 막론하고 국민들을 공평하게 대우하였다.[1]
6. 가족
케손은 1918년 12월 17일 사촌인 아우로라 아라곤 퀘존과 결혼했다.[54] 이들 부부는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
마리아 아우로라 "베이비" 퀘존 | 1919년 9월 23일 | 1949년 4월 28일 |
마리아 제나이다 "니니" 퀘존-아반세냐 | 1921년 4월 9일 | 2021년 7월 12일 |
루이사 코라손 파스 "네니타" 퀘존 | 1924년 2월 17일 | 1924년 12월 14일 |
마누엘 L. "노농" 퀘존 주니어 | 1926년 6월 23일 | 1998년 9월 18일 |
그의 손자인 마누엘 L. "마놀로" 퀘존 3세(1970년 5월 30일 출생)는 작가이자 전 대통령 커뮤니케이션 개발 및 전략 기획 사무소 차관으로,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Philippine Education
https://books.google[...]
F.R. Lutz
1917
[2]
학술지
Quezon's City: Corruption and contradiction in Manila's prewar suburbia, 1935–1941
2017-01-26
[3]
서적
Quezon's Commonwealth: The Emergence of Philippine Authoritarianism
[4]
뉴스
Quezon feted for rescuing Jews
https://www.manilati[...]
2015-08-19
[5]
웹사이트
History of Baler
https://nhcp.gov.ph/[...]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12-03-09
[6]
서적
Policing America's Empire: The United States, the Philippines, and the Rise of the Surveillance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3-04-04
[7]
뉴스
Love in the time of war: Manuel Quezon's dad, Anne Curtis, Jericho Rosales & Ed Angara in Baler
https://www.philstar[...]
2019-05-17
[8]
웹사이트
Behind the Name: Quezon
https://surnames.beh[...]
[9]
Instagram
QUEZON is the Spanish transliteration of Hokkien for “the strongest grandson”
https://www.instagra[...]
[10]
웹사이트
El Pilipinismo: Chino Cristiano Surnames
https://pepealas.wor[...]
[11]
웹사이트
QUEZON, Manuel L.
https://history.hous[...]
Office of the Historian, Clerk of the House's Office of Art and Archives
2023-04-04
[12]
웹사이트
Quezon, Manuel Luis, (1878–1944)
Office of History and Preservation, United States Congress
2010-09-30
[13]
서적
Pictorial History of the Philippines
[14]
웹사이트
The Letran Awards
https://www.letran.e[...]
2023-04-04
[15]
웹사이트
Manuel L. Quezon
http://malacanang.go[...]
2021-06-28
[16]
서적
Philippine Assembly, Third Legislature, Third Session, Document No.4042-A 87 Speeches of Manuel L. Quezon, Philippine resident commissioner, delivered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discussion of Jones Bill, 26 September-14 October 1914
http://quod.lib.umic[...]
Bureau of Printing
2010-07-24
[17]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9-05-18
[18]
웹사이트
Official Program Aquino Inaugural (Excerpts)
https://www.scribd.c[...]
[19]
웹사이트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Manuel L. Quezon, November 15, 1935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1-05-19
[20]
뉴스
Lawmaker: History wrong on Gen. Malvar
http://www.manilatim[...]
2008-05-02
[21]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1961
[22]
웹사이트
Commonwealth Act No. 1
https://www.official[...]
2019-03-25
[23]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61, s. 1936
http://www.officialg[...]
2019-03-25
[24]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39, s. 1936
https://www.official[...]
2019-03-25
[25]
웹사이트
Commonwealth Act No. 20
https://www.official[...]
2019-03-25
[26]
웹사이트
C.A. No. 459: An Act Creating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Bank
https://thecorpusjur[...]
2019-03-25
[27]
서적
Economics, Taxation, and Agrarian Reform
https://books.google[...]
C & E Publishing, Incorporated
2023-04-04
[28]
웹사이트
Act No. 4054
http://www.chanroble[...]
2019-03-25
[2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9, s. 1936
https://www.official[...]
2019-03-25
[30]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31]
서적
Philippine-Japan Relations: the Revolutionary Years and a Century Hence
Foreign Service Institute
[32]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44, s. 1938
http://www.officialg[...]
2019-03-25
[33]
뉴스
Block voting
http://opinion.inqui[...]
2012-09-10
[34]
법률
Commonwealth Act (CA) No. 494 amended CA 444, the "Eight Hour Law", authorizing the president to suspend it.
[35]
웹사이트
C.A. No. 494: An Act to Authorize th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to Suspend, Until We Date of Adjournment of the Next Regular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Either Wholly or Partially the Operation of Commonwealth Act Numbered Four Hundred and Forty-Four, Commonly Known as the Eight-Hour Labor Law
https://thecorpusjur[...]
2019-03-25
[36]
웹사이트
Commonwealth Act No. 613
http://www.chanroble[...]
2019-03-25
[37]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34, s. 1937
http://www.officialg[...]
1937-12-30
[38]
연설
Second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Quezon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1-12-30
[39]
웹사이트
Jose Abad Santos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3-06-06
[40]
서적
A New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4-04
[41]
웹사이트
Nine Waves of Refugees in the Philippines - UNHCR Philippines
http://www.unhcr.org[...]
2017-06-07
[42]
뉴스
Philippines: A Jewish refuge from the Holocaust
http://globalnation.[...]
2013-04-13
[43]
웹사이트
A Filipino-American Effort to Harbor Jews Is Honored
https://www.nytimes.[...]
2005-02-14
[44]
뉴스
Jewish Refugees and the Philippines, a timeline: nationalism, propaganda, war
https://news.abs-cbn[...]
2019-05-30
[45]
웹사이트
Evacuation flights may be identified at the AirForceHistoryIndex.org site
https://web.archive.[...]
2023-04-04
[46]
뉴스
1st Lt William Haddock Campbell, USAAF, received the DSC for his role as co-pilot in the evacuation of the Philippine president from the Philippines, as reported in a local Chicago newspaper, ''The Garfieldian''
https://archive.toda[...]
The Garfieldian
1943-04-01
[47]
웹사이트
Escape from Corregidor, December 8, 2001
https://philippinesf[...]
2001-12-08
[48]
서적
American Caesar: Douglas MacArthur 1880–1964
Back Bay Books
2008
[49]
웹사이트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Manuel L. Quezon, November 15, 1943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3-11-15
[50]
웹사이트
The Miami News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51]
웹사이트
Official Month in Review: July 1946
https://www.official[...]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1946-07-01
[52]
웹사이트
Paranormal and Historical
http://www.quezon.ph[...]
2019-11-02
[53]
웹사이트
Museo ni Manuel Quezon
http://nhcp.gov.ph/m[...]
2019-12-18
[54]
서적
The Commercial & Industrial Manual of the Philippines; 1940-1941
https://books.google[...]
Publishers incorporated
2023-04-04
[55]
웹사이트
Roster of Recipients of Presidential Awards
https://archive.org/[...]
2022-07-11
[56]
웹사이트
Our Story
https://www.knights-[...]
2021-06-16
[57]
웹사이트
Picture of commemorative coin
http://caimages.coll[...]
2012-09-10
[58]
뉴스
How the Philippines saved 1,200 Jews during Holocaust
http://www.cnn.com/2[...]
2015-02-02
[59]
뉴스
Monument in Israel Honors Filipinos
http://asianjournal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0-12-31
[60]
웹사이트
Presidential Papers of Manuel L. Quezon
http://www.unesco.or[...]
2018-10-14
[61]
웹사이트
31 Interesting Facts About Hundred Islands National Park - Jacaranda's Travels - Philippines Tourists Spots
http://jacarandatrav[...]
2016-05-25
[62]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105, s. 1981
https://www.official[...]
1981-08-18
[6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6471
https://www.official[...]
1949-08-04
[64]
뉴스
Kapuso stars portray heroes in GMA's cinematic version of the National Anthem
https://www.pep.ph/g[...]
2010-08-21
[65]
뉴스
Manuel L. Quezon is the subject of a new musical
https://lifestyle.i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8-14
[66]
뉴스
Benjamin Alves wants to play Quezon again in 'Heneral Luna' sequels
https://www.gmanetwo[...]
2015-10-12
[67]
뉴스
Benjamin Alves to play Manuel L. Quezon in upcoming movie
https://news.abs-cbn[...]
2018-08-25
[68]
뉴스
'Quezon's Game' named Best Foreign Movie in Texas fest
http://manilastandar[...]
2019-04-23
[69]
웹사이트
Sound file
http://www.quezon.ph[...]
2018-04-25
[70]
웹사이트
Talumpati: Manuel L. Quezon
http://filipinolibra[...]
2010-06-26
[71]
뉴스
日本軍、マニラ北方に上陸
大阪毎日新聞
1941-12-11
[72]
뉴스
比政府、米軍司令部がマニラ撤退
朝日新聞
1941-12-27
[73]
unkno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